알면 유용한 것들/2주일 한국사 심화(1급) 따기

한국사 7일차 내용 정리 종합

dohonka 2022. 12. 10. 10:36
반응형

1. 이승만 정부

***민주화 운동(419, 518, 6월 민주항쟁) - 키워드 기억

***통일  남북 합의 통일 모습(74남북공동성명, 남북기본합의서, 615남북공동선언)

***경제 성장 파트(한강의 기적)

  이승만 4.
19혁명
장면
모스크바 3(미소영) 외상 회의
임정, 신탁(미소영중 대신 통치), ·
: 신탁 통치 지지
: 반대

1차 미·소 공위 -> 휴회

이승만 정읍 발언
남한만이라도 정부를 만들어야 합니다.”

좌우 합작 운동
(여운형(중도좌), 김규식(중도우/ 임시정부 부주석))

2차 미·소 공위 -> 결렬

UN -> 5·10 총선거(최초 보통선거)-----------

- 제주 4·3사건
남북 협상(김구, 김규식)
 제헌 헌법
 <- 간선(by 제헌국회)

대한민국 정부 수립
농지 개혁O
반민특위 실패

원조 경제
 삼백 산업
6·25 전쟁 
남침

인천 상륙 작전

중국군 개입

1·4후퇴(흥남철수)

반공 포로 석방

정전 협정(53)
1차 개헌
(=발췌 개헌)
 <- 직선

부산 정치 파동



2차 개헌
(=사사오입 개헌)
 <- 초대 
중임 제한X

-진보당 사건(조봉암 사형)
-3·15 부정 선거
-2·28 의거(대구)
-김주열X(마산 의거)
=>419혁명 키워드
이승만 하야
허정 과도 정부

3차 개헌
-내각 책임제
-양원제(+)

장면 내각

4차 개헌
-소급 입법
 부정 선거X

 

2. 박정희 정부

60년대 <- 박정희 -> 70년대
516 군사정변(61)
국가 재건 최고 회의

5차 개헌
 <- 직선, 단원(임기 4, 중임가능)

3공화국
-경공업 - 1960년대
 ·일 수교(6·3) - 1964 6.3시위(한일 수교 반대)
 베트남 파병  미 원조



6차 개헌
(=3선 개헌)
***7·4 남북 공동 성명(72)
 3: 자주·평화·민족 대단결
 남북 조절 위원회

7차 개헌(유신 헌법)
 <- 간선(6 -> 종신)
by 통일 주체 국민 회의
 -> 국회의원 1/3 추천, 긴급 조치권



*중화학 공업 - 70년대 예) 포항제철
수출 100억 달러 달성

1979 YH무역사건 -> ·마 항쟁
-> 10·26사태 -> 신군부 등장, 12·12사태
경부 고속 국도
새마을 운동
**전태일 분신 사건

 

3. 전두환 정부 ~ 김대중 정부

계엄군

18
전두환 6·10
민주항쟁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시민군, 유네스코
-국보위

8차 개헌
 <- 간선 by 대통령 선거인단
7년 단임


3 호황
 저금리·저달러·저유가
 산업
-최초 이산가족 상봉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4·13 호헌 조치(후임자에게 정부 이양)
-이한열
-6·29 민주화 선언

9차 개헌
 <- 직선, 5년 단임제



노태우 정부 출범
 북방 외교


2) 남북 기본 합의서(경제 교류)
1) UN 동시 가입
3)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
(순서대로)
-김일성 사망
-역사 바로 세우기
-지방 자치제 전면 실시
-금융 실명제(통장에 실명 사용)
-우루과이 라운드 타결
-OECD 가입
-IMF 사태 (외환 부족) ------
->
금 모으기 운동(2의 국채보상운동)
노사정 위원회 => IMF 졸업
햇볕 정책
- 정주영 소 떼 방북
- 금강산 해로 관광

6·15 남북 공동 선언
최초의 남북 정상 회담
(-> 2: 노무현)
연합제  낮은 단계 연방제



개성 공단, 경의선, 금강산 육로관광, 이산가족 상봉

 

출처 - 유튜브 최태성1TV 채널

( https://www.youtube.com/c/%EC%B5%9C%ED%83%9C%EC%84%B11TV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