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이승만 정부
***민주화 운동(419, 518, 6월 민주항쟁) - 키워드 기억
***통일 – 남북 합의 통일 모습(74남북공동성명, 남북기본합의서, 615남북공동선언)
***경제 성장 파트(한강의 기적)
이승만 | 4. 19혁명 |
장면 | |||
모스크바 3국(미소영) 외상 회의 임정, 신탁(미소영중 대신 통치), 미·소 좌: 신탁 통치 지지 우: 반대 ↓ 1차 미·소 공위 -> 휴회 ∥ 이승만 정읍 발언 “남한만이라도 정부를 만들어야 합니다.” ∥ 좌우 합작 운동 (여운형(중도좌), 김규식(중도우/ 임시정부 부주석)) ∥ 2차 미·소 공위 -> 결렬 ∥ UN -> 5·10 총선거(최초 보통선거)-----------⤴ ↑ - 제주 4·3사건 남북 협상(김구, 김규식) |
→ 제헌 헌법 대 <- 간선(by 제헌국회) ↓ 대한민국 정부 수립 농지 개혁O 반민특위 실패 ↓ 원조 경제 ↳ 삼백 산업 |
6·25 전쟁 → 남침 ↓ 인천 상륙 작전 ↓ 중국군 개입 ↓ 1·4후퇴(흥남철수) ↓ 반공 포로 석방 ↓ 정전 협정(53) |
1차 개헌 (=발췌 개헌) 대 <- 직선 ↑ 부산 정치 파동 ↓ 2차 개헌 (=사사오입 개헌) 대 <- 초대 大 중임 제한X ↓ -진보당 사건(조봉암 사형) -3·15 부정 선거 -2·28 의거(대구) -김주열X(마산 의거) =>419혁명 키워드 |
이승만 하야 허정 과도 정부 ∥ 3차 개헌 -내각 책임제 -양원제(민+참) ↓ 장면 내각 ↓ 4차 개헌 -소급 입법 ↳ 부정 선거X |
2. 박정희 정부
60년대 <- 박정희 -> 70년대 | |
516 군사정변(61년) 국가 재건 최고 회의 ↓ 5차 개헌 대 <- 직선, 단원(임기 4년, 중임가능) ↓ 3공화국 -경공업↑ - 1960년대 ↳ 한·일 수교(6·3) - 1964년 6.3시위(한일 수교 반대) ↳ 베트남 파병 – 미 원조 ↓ 6차 개헌 (=3선 개헌) |
***7·4 남북 공동 성명(72) ↳ 3대: 자주·평화·민족 대단결 ↳ 남북 조절 위원회 ↓ 7차 개헌(유신 헌법) 대 <- 간선(6년 -> 종신) by 통일 주체 국민 회의 대 -> 국회의원 1/3 추천, 긴급 조치권 ↓ *중화학 공업↑ - 70년대 예) 포항제철 수출 100억 달러 달성 ↓ 1979년 YH무역사건 -> 부·마 항쟁 -> 10·26사태 -> 신군부 등장, 12·12사태 |
경부 고속 국도 새마을 운동 **전태일 분신 사건 |
3. 전두환 정부 ~ 김대중 정부
계엄군 5· 18 |
전두환 | 6·10 민주항쟁 |
노태우 | 김영삼 | 김대중 |
-시민군, 유네스코 -국보위 ∥ 8차 개헌 대 <- 간선 by 대통령 선거인단 7년 단임 3저 호황 ↳ 저금리·저달러·저유가 ↳ 산업↑ -최초 이산가족 상봉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4·13 호헌 조치(후임자에게 정부 이양) -이한열△ |
-6·29 민주화 선언 ↓ 9차 개헌 대 <- 직선, 5년 단임제 ↓ 노태우 정부 출범 ↳ 북방 외교 2) 남북 기본 합의서(경제 교류) 1) UN 동시 가입 3)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 (순서대로) |
-김일성 사망 -역사 바로 세우기 -지방 자치제 전면 실시 -금융 실명제(통장에 실명 사용) -우루과이 라운드 타결 -OECD 가입 -IMF 사태 (외환 부족) ------⤴ |
-> 금 모으기 운동(제2의 국채보상운동) 노사정 위원회 => IMF 졸업 햇볕 정책 - 정주영 소 떼 방북 - 금강산 해로 관광 ↓ 6·15 남북 공동 선언 최초의 남북 정상 회담 (-> 2차: 노무현) 연합제 ≒ 낮은 단계 연방제 ↓ 개성 공단, 경의선, 금강산 육로관광, 이산가족 상봉 |
출처 - 유튜브 최태성1TV 채널
( https://www.youtube.com/c/%EC%B5%9C%ED%83%9C%EC%84%B11TV )
반응형
'알면 유용한 것들 > 2주일 한국사 심화(1급) 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6일차 내용 정리 종합 (0) | 2022.12.08 |
---|---|
한국사 5일차 내용 정리 종합 (0) | 2022.12.05 |
한국사 4일차 내용 정리 종합 (1) | 2022.12.04 |
한국사 3일차 내용 정리 종합 (0) | 2022.12.03 |
한국사 2일차 내용 정리 종합 (0) | 2022.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