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자유를 위해 뭐라도 하자/종목의 발견 - 주식

[Envelope선으로 보는 주식] 삼성전자20240205

dohonka 2024. 2. 5. 02:00
반응형

주식을 처음 입문하면서 매수했던 종목이자 많은 수익을 안겨주기도 했던 삼성전자입니다.

envelope선으로 삼성전자를 한 번 짚어보고 앞으로의 투자 방향에 대해 생각해보려 합니다.

지금부터 살펴보는 내용은
1. envelope선(기간20일, 상하한 20)으로 보는 차트와
2. 거래대금(1000억 또는 1500억 이상)으로 추세에 대한 생각입니다.

차트를 보는 것은 지난 흐름을 통한 과거와 현재, 미래에 대한 흐름에 대한 생각입니다.

이전 '만원아래주식' 에서는 뉴스도 함께 헤드라인 정도로 실었지만, 이번 글에서는 뉴스의 내용은 필요 시 싣도록 하겠습니다. 뉴스의 내용을 소홀히 해도 된다는 의미는 아니며, 오히려 뉴스를 통해 지금 흐름이 왜 이렇게 됐는지는 반드시 살펴봐야 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삼성전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시가총액 1위의 기업으로 시총은 약 448조입니다.

삼성전자의 차트를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엔벨로프 하한선을 터치한건 2020년 3월 19일 42300원이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쇼크로 전세계가 패닉에 빠지던 시기였습니다.

그 이후로는 상승세를 이어가다
엔벨로프 상한선을 2021년 1월 11일 96800원을 고점으로 돌파하고나서 2022년 9월 30일 51800원을 저점으로 하락 후 다시 2023년 2월 2일 현재가 75200원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코스피 지수와 흐름을 거의 비슷하게 가져가는 주식입니다.

엔벨로프 상한 하한을 찍는게 굉장히 드물고 변동성이 크지 않은 종목입니다.

거래대금 역시 매일 1조 가까이 이뤄지기에 거래대금으로 상승과 하락 여부를 판단하기에는 쉽지 않습니다.

투자를 하겠다면 엔벨로프 하한선을 기다리는 것도 좋겠지만, 그것보다 엔벨로프 중심선을 기준으로 이동평균선과 같이 보면서 투자하면 유용할듯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1. 엔벨로프 중심선 아래에 반드시 가격이 내려올 때
2. 이동평균선 5일, 10일, 60일, 120일선 모두 아래에 가격이 내려올 때
입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상승 추세에서는 위 방법이 유리한 방법이지만,
하락 추세에서는 불리할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해야겠습니다. 그리고, 상승이든 하락이든 분산투자는 필수이며, 자산 비중에서 투자는 4:3:3으로 나누는 전략을 꼭 짜도록 해야겠습니다.

하락 추세에서 대처 방법은 아래 표를 보면서 설명하겠습니다.

상승추세


하락추세

하락 추세일 때는 분산 투자를 반드시 하는 동시에 엔벨로프 중심선을 돌파하는 기간이 생기면 반드시 부분이든 전체든 익절을 해야겠습니다.


이상으로 삼성전자에 대한 엔벨로프 지표 활용에 대한 생각이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