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면 유용한 것들/2주일 한국사 심화(1급) 따기

한국사 2일차 내용 정리 종합

dohonka 2022. 12. 2. 07:52
반응형

1. 통일 신라(정치)

 

중대(, 신문왕(문무왕 아들)) 하대(, 진골 간 왕위 다툼)
상수리 제도(인질제도), 외사정(바깥으로 감시관 파견, 문무왕 때 실시)
김흠돌(왕권 강화의 키워드)의 난
상대등(화백 회의), 시중(집사부)
*****관료전O, 녹읍X(신문왕의 왕권 강화)
9 5소경(5소경=수도(금성) 편제성 극복)
9서당 10(9서당=중앙군(신라인, 고구려인, 말갈인까지)->민족 융합)
6두품(설총(화왕계)), 진골귀족
국학 설치(고구려(소수림왕) - 태학)
김헌창(왕건 약화의 키워드)의 난
상대등, 시중
녹읍 부활
독서삼품과X(과거제의 전신, 원성왕 때 폐지)

호족(선종(참선), 풍수지리설) + 6두품(최치원(빈공과) -> 최승로) <--모순
견훤, 궁예(->왕건)
공산(대구)전투 견훤O -> 고창(안동)전투 왕건O -> 일리천O(후삼국 통일의 기틀 신검X)


원종, 애노의 난(지방 통제력, 봉기 발생)

 

2. 통일 신라(경제, 사회, 문화)

경제, 사회 문화
민정 문서(신라 장적으로도 부름, 서원경(청주)에서 발견, 토지,  -> 조세)
청주는 직지심체요절이 발견된 곳




장보고(호족 1세대)
골품제(폐쇄적 신분제)
승려
-*원효: 일심 사상, 무애가(), 아미타(대중화)
-*의상: 관음 신앙, 화엄종, 부석사 창건(대중화)
-*혜초: <왕오천축국전>


불국사 = 3층 석탑 + 다보탑 & 분황사, 황룡사
3층석탑~<무구정광대다라니경>: 현존 최고(最古) 목판 인쇄물


석굴암, 동궁과 월지(안압지)
상원사 동종(현존 최고), 성덕 대왕 신종(에밀레종, 현존 최대)
철감선사탑(선종) - 통일신라 말기(승탑-스님 사리 모신 탑)

 

3. 발해(정치)


대조영: 동모산
*무왕(인안): 장문휴 -> 산둥반도 공격
*문왕(대흥): 친당, 3 6, 신라도(신라와 교류)
*선왕(건흥): 전성기 -> 해동성국
5 15 62
-> 멸망(거란)

 

4. 발해(경제, 사회, 문화)

솔빈부 말, 발해관(당나라 교류)

지배층: 고구려인  + 말갈

고구려 계승 당 영향
 --> 일본
나 고려왕은~”
온돌
이불병좌상
석등, 돌사자상
영광탑
3
정당성(대내상)
중대성
선조성
(독자성)
6
충 인 의
지 예 신
(독자성)
주작대로(상경 용천부)
주자감(대학/ 고려-국자감, 조선-성균관)

 

5. 고려(전기 정치)

태조(): 결혼, 사성(성씨를 내려줌), 역분전(개국공신에게 땅 하사) / 사심관(연대 책임), 기인(인질제도) / 흑창(고구려 진대법 후신, 조선 의창제도로 연결) / 서경(평양, 고구려 계승 의미로 중요시함) -> 훈요 10
광종:  = 노비안검법(재정, ), 과거제(쌍기/ 원성왕 - 독서삼품과), 공복


고려 후기  공민왕 -> 왕권 강화(전민변정도감) -노비안검법과 동일
성종: 유교(최승로) -> 지방관 파견(12), 향리제 마련




이자겸의 난,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 여진()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 ‘조선역사 일천년래 제일 대사건’(신채호)

 

* 고려 전기(문벌귀족) / 무신정변(1170)(무신) / 고려 후기(권문세족) -> 신진사대부(조선 건국)

 

6. 고려(후기 정치)

1170년  
  무신: 교정도감(최충헌, 권력 장악), 정방(최우, 인사권 장악), 도방·삼별초(군사력 장악)
 망이·망소이의 난(공주 명학소), 만적의 난(개경), 김사미와 효심의 난(운문, 초전 경상도)


공주  석장리 유적(구석기), 웅진(무령왕릉), 공주 명학소


몽골() 침입


공민왕: X - (쌍성총관부 제거, 기철 숙청, 정동행성 폐지, 정방 폐지, 몽골풍 폐지), 전민변정도감(재정, )

 

7. 고려(외교)

  재정, 
  거란(): 서희(강동 6, 1), 강감찬(귀주 대첩, 3차 침입), 천리장성, 초조대장경, 나성(개경)


여진(): 윤관(별무반(신보, 신기, 항마군) -> 동북 9)
사대 요구: 이자겸, 김부식 <-> 묘청


몽골(): 강화 천도(최우), 김윤후, 초조대장경 소실, 팔만대장경O, 황룡사 9층 목탑 소실, 삼별초(배중손, 진도->제주도)


공민왕(안동까지 피란) <--- 홍건적, 왜구: 최영, 이성계

 

8. 고려(경제, 사회)

전기 역분전(태조) -> 전시과(세습X) - 광종 이후 시행
공음전(세습O) + 음서(조상 음덕) -> 문벌 귀족



건원중보(성종, 최초 화폐, 철전)X
활구(은병)
경시서
문익점(목화)
1170  
후기 문벌 귀족 -> 무신 -> 권문 세족 -> 신진 사대부
·서 대비원, 제위보, 구제도감, 구급도감
백정: 일반 농민, 천민X
여성: 가정 지위(균분 상속, 윤행봉사), 공녀

 

9. 고려(문화)

* 정치, 문화 파트는 매우 중요

유학 국자감(고구려  태학, 통일신라  국학, 발해  주자감, 조선  성균관)- 전문 7 + 향교(지방 학교) < 최충의 9재 학당(사학이 유행)

※ 양현고: 기를 양(養), 어질 현(賢), 곳간 고(庫) / 고려 시대 관학 진흥을 위해 설치한 장학 재단
※ 전문 7재: 관학 진흥을 위해 국학에 설치한 7개의 전문 강좌
1170
문화
성리학(by 안향 - 소수서원) -> 신진사대부
이제현(역옹패설, 사략(역사))
역사 <삼국사기>: 김부식, 기전체
현존 우리나라 최고(最古) 역사서
<삼국유사> 일연, 단군
  승려 의천 지눌 혜심
천태종
 +  = 교관겸수
조계종
 +  = 정혜쌍수, 돈오점수
결사(같이 수행, 수선사(=송광사))
유불일치설 주장

 

불교 불상 하남 하사창동 철조 석가여래 좌상
논산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영주 부석사(의상-통일신라) 소조 아미타 여래 좌상
부석사  무량수전(주심포)
 
평창 월정사 8 9층 석탑 개성 경천사지 10(원 영향 짝수 층) 석탑
원각사지 10층 석탑(조선 세조 때 제작)
인쇄 초조대장경(거란X) -> 팔만대장경(몽골)
직지심체요절(청주 흥덕사)
공예 청자(순청자 ---- --> 상감 청자)
무기   화통도감(최무선 -> 진포 대첩, 왜구 격퇴)

 

출처 - 유튜브 최태성1TV 채널

( https://www.youtube.com/c/%EC%B5%9C%ED%83%9C%EC%84%B11TV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