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면 유용한 것들/2주일 한국사 심화(1급) 따기
한국사 6일차 내용 정리 종합
dohonka
2022. 12. 8. 06:29
반응형
1. 일제 강점기(1910년대 식민 통치와 저항)
통감 -> 총독 정치 | |
**<정치> 헌병(무단 통치) - 즉결 처분, 태형, 칼 찬 교사 | |
**<경제> 토지 조사 사업(경작권X, 계약/ 일제 재정 확보), 회사령(허가), ~령 | |
內 | 1910~ 外 |
<비밀 결사>-신민회(1911년 105인 사건으로 해체) - 독립 의군부(임병찬 중심) -> 복벽주의(옛 체제(왕)로 회복) 대한 광복회(박상진) -> 공화정 지향 |
<독립운동 기지> 1) 신민회(이회영)/ 경학사 후원 통해 -> 신흥 무관 학교(서간도) 2) 중광단 후원(대종교-단군(나철-을사오적 암살단)) -> 북로군정서(북간도)(1920년도 청산리 전투, 김좌진 장군) 3) 대한 광복군 정부(이상설/ 권업회 후원)(연해주, 신한촌) -> 대한국민의회로 연결 |
↳ 고종 사망 -> 3·1운동(제암리+고주리 학살 사건) -> 대한민국 임시정부 출범(1919.4.11.) *1926년 6·10만세 운동(순종 사망) |
|
2·8 독립 선언(도쿄, 유학생들의 독립 요구) | |
대한민국(1919년 4월 11일) 명칭 탄생 대한민국 임시정부(상하이) -삼권분립, 공화정 -연통제(행정 조직), 교통국(정부 조직), 독립 공채 |
30년대 – 10년대 순으로 가장 많이 출제
2. 일제 강점기(1920년대 식민 통치와 저항)
**<정치> 문화 통치(보통경찰↑), 조선·동아일보 창간, 치안 유지법(1925)(사회주의자들 잡아들이기 위한 악법) | ||||
**<경제> 산미 증식 계획(만주 저렴한 잡곡 들여옴), 회사령 폐지(신고), 관세X | ||||
內 1920~ | 外 | |||
-민족(주의)-자본주의 지향(애국 계몽 연장): 실력↑ - 문맹 퇴치 운동(동아일보 1930년대 브나르도 운동), 민립 대학 설립 운동, 물산 장려 운동(평양, 조만식/ 국산품 사용 장려 운동 <->구한말 국채보상운동) |
정우회 선언(사회+민족) | <항일 무장 투쟁> 봉오동 전투: 홍범도(대한 독립군, 북간도 후원) ↓ 청산리 전투: 김좌진, 북로군정서 + 홍범도(대한독립군), 의민단(천주교) ↓ 간도 참변 – 이후 정비한 군대 = 대한 독립군단 ↓ 자유시 참변(21) ↓ 3부(참, 정, 신) 결성 – 미쓰야 협정 체결(독립군 잡아들이게 만든 협정) ↓ 3부 통합(혁신의회(북만주), 국민부(남만주)) - 1930년대 한국 독립군, 조선 혁명군으로 무장항일투쟁 연결 |
||
↓ | ||||
신간회(1927) | ||||
↑ | 공개단체, 민족 유일당 (좌우합작) |
|||
-사회(주의): 쟁의(파업) => 암태도 소작 쟁의(목포), 원산 총파업/ 강화도조약 원산 개항, 원산학사(최초의 근대학교) |
||||
-학생 | 6·10만세 운동(26): 순종 인산일 ↗ | ↓ | ||
광주 학생 항일 운동(29) ← 민중대회 | ↲진상조사 | |||
-어린이: 방정환(천도교 <- 동학) | *외울 부대 1920년대 – 대한 독립군단, 북로군정서군 1930년대 – 한국 독립군, 조선 혁명군 1940년대 – 한국 광복군, 조선의용대 |
|||
-여성: 근우회(신간회 자매단체) | ||||
-백정: 형평 운동(진주) | ||||
-영화 ‘아리랑’(나운규) | ||||
-의열단: 김원봉, 김익상, 김상옥, 나석주 | *한인애국단 (1930년대) |
|||
↳ <조선 혁명 선언>: 신채호, 폭력으로 타도 구한말 독사신론/ 신채호 ↳ 황푸 군관 학교(군대 조직 연습 위해) |
3. 일제 강점기(1930년대 이후 식민 통치와 저항)
세계 대공황 | ||
**<정치> 민족 말살 통치 => 황국 신민 서사, 궁성 요배, 창씨개명, 신문 폐간 | ||
**<경제> 남면북양(옷 원료) 정책, 병참 기지화 정책, 국가 총동원법(38) => ‘위안부’, 징용, 공출과 배급(1940년대~) | ||
內 | 1930~ 外 | |
브나르도 운동(동아일보 주도) -> 심훈 브나르도 운동 배경 소설<상록수> |
한인 애국단 – 국민대표단(23) 이봉창(일) - 윤봉길(중) -> 중국 국민당 정부 지원 상하이 => 충칭으로 이동 |
<한·중 연합 작전> - 1931년 만주사변으로 인함 -북만주 – 한국 독립군(지청천): 쌍성보, 대전자령 *지청천 – 한국광복군 총사령관 -남만주 – 조선 혁명군(양세붕): 영릉가, 흥경성 (1930년대 초반) |
조선어 연구회 -> 조선어학회-<우리말 큰사전> 편찬 못함 | ||
-진단 학회(실증주의) -민족주의 사학(정인보(얼)/ 1910~20년대 신채호(망각), 박은식(혼)) -사회 경제 사학(백남운, 정체성론 비판) |
한국 독립당 창당 건국 강령(삼균주의 <- 조소앙) 한국 광복군 창설 -대일 선전 포고 -인도·미얀마 파견(영국 요청) -미국 oss, 국내 진공 작전 |
민족 혁명당(김원봉 주도) ↓ 조선민족 전선 연맹 ↓ 조선 의용대(중국 관내 최초 한인 무장 조직) ↲한국광복군 합류(김원봉 주도 일부 세력/ 한국광복군 부사령관 김원봉) ↳나머지는 조선 의용군 조직 |
출처 - 유튜브 최태성1TV 채널
( https://www.youtube.com/c/%EC%B5%9C%ED%83%9C%EC%84%B11TV )
반응형